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88

react 버전이 맞지 않을 경우 레포 클론 후 모듈을 받을 때,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했다. 기존에 내가 사용하고 있는 버전과 받아온 레포의 버전이 안맞을 경우 다음과 같은 에러가 나온 것 같다. Unable to resolve dependency tree 를 검색해보니 stack overflow에서 원인과 해결방법이 나왔다. 다음과 같은 에러가 나올 경우 버전을 낮춰서 맞춰주는 방법이 있고, 밑에 있는 명령어를 입력한 후 npm i --save를 다시 실행시키면 다운을 받을 수 있다. npm install --save --legacy-peer-deps stackoverflow.com/questions/64573177/unable-to-resolve-dependency-tree-error-when-installing-npm-packa.. 2021. 2. 19.
0215 금요일에 맥북에 커피를 쏟았다. 맥북에서 이상한 소리가 났고, 터질 것 같아서 무서웠다. 주말에는 수리가 안되서 책상에 뒤집어 놓고 말렸다. 오늘 U-base에 갔는데 수리비가 맥북 구매한 비용의 4/5이 나왔다. 새로 사야겠다. 2021. 2. 15.
0213 수료하고 난 후, 이력서 과제 자소서만 계속 썼다. 기술면접이 있다고 해서 예상문제를 봤다. 2주 프로젝트 , 4주 프로젝트를 달리면서 복습을 안하니 머릿속에 남아 있는 개념이 하나도 없었다. 큰일이다. 2021. 2. 13.
3. 정렬된 배열과 이진검색 선형검색(Linear Search) 모든 요소들이 내림차순 또는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는 상태의 배열과 기존 배열이 있다. 이때 50을 각각의 배열에서 찾을 때 더 효율적인 배열은 ? 기존배열에서 50이라는 요소를 찾기 위해서는 모든 요소를 순회해야하는 반면 50이라는 요소를 배열안에서 찾을 때, 타깃숫자가 순회하는 숫자보다 작다면 순회를 멈춘다. 즉 정렬된 배열은 기존 배열보다 순회하는데 있어서 효율적이다. [단 찾는 요소가 배열의 마지막 일 때에 시간 복잡도는 같다.] 정렬된 배열에 요소를 추가할 경우, 추가하려는 요소와 기존 배열의 요소들을 비교한 후, 추가된다. 이때 배열을 추가하기 위한 최악의 상황은 모든 요소를 순회한 후 추가해야 하기 때문에 효율적이라고 보기 어렵다. 이진검색 (Binary.. 2021. 2. 13.
2. 배열과 집합 배열 배열은 순서라는 개념을 갖고 있는 기본적인 자료구조 배열은 요일약통처럼 데이터를 보관할 수 있는 통! 요일은 index, 요일안에 들어있는 약들이 element라고 생각하기! 자료구조에는 크게 읽기 ,검색, 추가, 삭제의 기능이 있다. 읽기 읽기는 월요일부터 일요일까지 써져있는 약통을 열어보는 것이다. 할아버지께서 화요일에 있는 약을 꺼내달라는 부탁을 들었을 때, 약통에 화요일이라고 써져있는 케이스 안에 있는 약을 드리면된다. 약통을 보는 순간 화요일를 바로 찾을 수 있듯이, 컴퓨터도 배열의 index(요일)값을 통해 element(약)를 조회할 수 있다. 검색 검색은 약통에 모든 알약의 색이 다르다고 가정했을 때, 특정색의 약을 찾는 것과 같다. 할머니께서 노란색 영양제를 꺼내달라고 하셨을 때, .. 2021. 2. 10.
sort 메서드 안에는 어떤 종류의 sort가 사용되었을까? 오늘부터 다시 토이를 1문제씩 풀어보려고 한다. 1번, 2번 문제는 내가 너무 힘들게 풀었던 문제였기에, 3번 _isSubsetOf 문제부터 시작하려고 했다. 근데..? 예전에 통과했던 문제들이 지금은 통과가 안된다..ㅎㅎ 수정이 되었다나보다. 3번 문제같은 경우에는 시간복잡도에 대한 문제가 Advanced로 추가가 된 것 같다. 그래서 전에 통과했던 로직으로 테스트를 실행시켰을 때, 시간 초과가 결과로 출력이 된다. 내가 사용한 코드의 처리 방식은 base = [10, 99, 123, 7]; sample = [7, 100, 99, 123]; 가 있을 때 sample의 요소들이 있는지 없는지 base를 모두 순회하면서 찾는다. 10 === 7, 99 === 7, 123 === 7, 7 === 7 10 =.. 2021. 2. 10.
1. 누구나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 봄결님과 여래님의 추천으로 오늘부터 가볍게 읽으려고 구매한 책이다 : ) 이 책의 목적은 독자에게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의 원리를 이해시키고, 이해한 원리를 로직에 적용시켜 보다 빠르고, 간결한 코드를 생각할 수 있게 돕기 위함이라고 한다. 오늘은 이 책의 인트로를 자세하게 읽어보았다. 가장 눈에 들어온 글귀는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은 우리 상식선에서 이해할 수 있다. 개념은 쉽고 분명한 말로 풀어서 설명하고, 많은 그림을 사용해 즐겁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다. 어려운 개념을 쉬운말로 풀어서 이해가 쉽게하고, 거기에 시각자료를 넣어 재미를 주며 집중력을 높인다. 이 책이 어떻게 독자에게 어려운 개념을 이해시킬지에 대한 전략이다. 말은 쉽지만 누군가를 이해시키는 것은 정말 어려운 일이다. 정말 기대된.. 2021. 2. 9.
미래의 교육을 설계한다 알아서 잘하는 학생과 보통 학생 그리고 관심을 가져줘야 하는 학생이 있다고 하면, 누구의 눈높이에 맞춰서 교육을 진행해야 하는지 너무 궁금해서 초등학교 교사인 친구에게 물어봤다.. 그 친구는 일단 교육의 눈높이는 보통 학생에 맞춰야 한다고 했다. 알아서 잘하는 학생은 칭찬과 더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약간의 피드백을 준다. 피드백으로 인해 그 친구는 더 성장한다. 보통 학생들은 수업을 했을 때, 수업 후 관련된 과제를 또는 팀 학습을 통해 문제의 원리를 이해하고, 만약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다면? 선생님께 질문을 하거나 스스로 이해하기 위한 노력을 한다고 한다. 그럼 이 때 선생님은 학생에게 스스로 답을 유추할 수 있도록 질문을 던지거나 힌트를 준다. 그런 과정을 통해서 이해한다. 관심이 필요한 학생.. 2021. 2. 6.
파이널 프로젝트 : Knock-Knock 성취감과 자존감을 높여줬던 4주 프로젝트 knock-knock! 시간이 정말 말도 안 되게 빨리 지나갔다.. 처음 코드스테이츠에 들어왔을 때만 해도 ,,, 티 안 내려고 당당한 척했지만 나 정말 수료할 수 있을까? 이거 정말 나한테 도움이 되고 있는 게 맞을까?라는 생각을 거의 매일 한 것 같다. MDN , Stack overflow 이런 거 하나도 몰랐던 내가... 문자열, 객체, 반복문을 이해 못해서 헐떡거리던 내가 ㅠㅠ 프로젝트를 하고 있다니 믿겨지지 않았다. 다른 사람이 봤을 때에는 그냥 갓난아기의 걸음마일 테지만.. 개인적으로 성취감을 많이 느낄 수 있고, 또 스스로 자존감이 높일 수 있었던 계기가 되었다. 그래서 더 개인적으로 애정이 많이 가는 프로젝트였다. Knock-Knock?? Knock.. 2021. 2.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