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88

1230 왜 response.headers에 접근하지 못하는 걸까 ?... 2020. 12. 30.
1229 오늘 해야할 일 1. response 결과 화면에 출력하기 -ing 2. mypage 폼 작성하기 3. 승균님과 mypage API - history기능에 대한 스키마 조정 회의 💡 2020. 12. 29.
1228 오늘 계획했던 일. => payload의 데이터가 JSON.stringify의 폼으로 가지 않는 부분 trouble shooting. -> 객체안의 객체 ... 캡슐화를 많이 했을 때의 문제점 .. 제발 잘보자 => client의 server로부터 받은 response.headers를 화면에 출력. 오늘의 삽질 node-fetch를 사용하여 서버로부터의 응답을 받을 때, 관리자 창의 Request headers의 값을 똑같이 객체로 받아올 줄 알았다. 하지만 response.headers안에는 빈 객체로 반환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위의 사진] 하지만.. axios를 사용하여 response.headers를 확인해보니 왼쪽과 같이 headers값이 빈 객체가 아닌 응답에 대한 headers 값이 들.. 2020. 12. 28.
1228 무드는 잠시 남는건 결과물. 2020. 12. 28.
1227 포스트보이 브라우저에서 req 옵션을 모두 설정하고 SEND버튼을 누르면 클라이언트의 서버에 req header가 전달된다. 문제점 -> body 부분을 제대로 구현되고 있지 않고 있다. ... 생각해보자 ,, 왜 안될까 2020. 12. 27.
1226 오늘 한 것. 클라이언트가 req 옵션을 모두 선택하고 send 버튼을 누르면 옵션들을 하나의 스테이트로 묶어서 fetch.jsx 파일로 보낸다. 위의 다이어그램은 내가 오늘 작업한 것을 다이어그램으로 만들어 놓은 것이다. 페어를 하다 보면 내가 작성한 로직은 이해할 수 있지만 타인이 작성한 로직을 이해하는 데에는 시간이 조금 많이 걸린다는 것을 느꼈다. 그래서 팀원들이 코드를 보고 이해하는데 조금이나마 돕기 위해 내가 작성한 로직에 대한 다이어그램을 만들고 공유하려고 한다. 더보기 이번 프로젝트에서 처음으로 리액트 훅을 사용하고 있다. : ) 기존 리액트 같은 경우에는 this를 사용했어야 했고, 리액트 라이프사이클이라는 개념을 이해했어야 했다..(너무 복잡) 개념을 이해하고 있어야 했는데..리액트 훅.. 2020. 12. 26.
1224 프로젝트 넷째 날. 나는 프로젝트에서 의견을 제시할 때에는 말 또는 글로 생각을 전달하는 것보다, 이미지로 보여주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생각한다. 서로의 의견을 주고받을 때, 자료 없이 그냥 말이나 글로만 한다면.. 내가 제대로 이해했는지 확인해야 하고, 이해하지 못했을 경우에는 따로 메신저를 사용해서 글을 남기거나 따로 미팅을 갖는다.. 불필요한 시간을 너무 많이 쓰는 것 같다..ㅎ 그래서 나는 프로젝트 회의를 할 때에 시각자료를 준비한 후 발표를 하는 편이다. 확실히 나의 의견을 쉽게 전달할 수 있었고 상대방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 같다고 생각한다. 팀 프로젝트는 소통이 중요하다.. 이때 소통은 단순히 말만 주고받고 하는 게 아닌, 서로가 의견을 주고받고, 주고받은 내용이 서로가 확실히 이해했는지.. 2020. 12. 25.
1219 다음주 월요일부터 시작이다. v 목표 1. 짐이 되지말자 : ) 2. 리액트/리덕스를 능숙하게 다뤄보자 : )[2주 프로젝트에서는 프론트엔드를 하고 싶다.] 3. 팀원들의 장점을 보고 배우자 : ) 2주 프로젝트는 뭘 하는게 좋을까 ? 4주 프로젝트를 위한 워밍업처럼 생각하고 싶다. 처음부터 창작하는 것 보다 타켓을 잡고 대략적으로 클로닝을 하고 세부적인 사항? 또는 기능들을 덧붙이는 방식으로 하는게 좋을 것 같다. 계속 생각해보자 : ) 프로젝트 기간에 작성하는 글은 비공개로 해놓자 : ) 2020. 12. 19.
1218 express에서의 CORS 설정 [18~24 lines] origin : true or false ! [origin : false] Same-Origin Policy : 웹 브라우저 보안을 위해 프로토콜, 호스트, 포트가 동일한 서버로만 ajax요청을 주고 받을 수 있음. 다른 origin에서 접근하는 것을 제한하기 때문에 공격받을 수 있는 경로를 제한하기에 보안상 이점이 있지만 자원을 공유할 수 없다는 큰 단점이 있다. [origin : true] Cross Origin Resource Sharing => 서로 다른 오리진에서 리소스 공유를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정책 : ) 서로다른 Origin? 도메인 혹은 포트가 다르다는 의미 ! ex ) client (https://localhost:3000) .. 2020. 12. 18.